2025/09/30 2

부설연구소 vs 연구소기업 등록 요건 및 실무 비교 (중소기업 필독 가이드)

기술 기반 창업이 급증하고 반도체, AI, 로봇, 바이오 등 첨단산업 중심으로 정책적 지원이 강화되면서, 중소기업들은 ‘연구소’라는 명칭이 포함된 조직을 점점 더 많이 설립하고 있다. 특히 기업부설연구소와 연구소기업은 창업 초기부터 정부 과제를 수주하거나 세제 혜택을 확보하기 위해 선택되는 대표적인 조직 형태다. 문제는 이 두 조직이 ‘이름은 비슷하지만’ 실질적으로는 제도 설계 목적부터 운영 방식, 혜택 구조까지 전혀 다르다는 점이다. 실제 현장에서는 “부설연구소를 등록하면 연구소기업 자격도 얻을 수 있느냐” 또는 “국책 과제에 참여하려면 연구소기업이 필수냐”는 식의 잘못된 인식이 자주 발견된다. 이로 인해 정작 자사의 규모와 전략에 적합하지 않은 조직을 선택하거나, 준비 부족으로 기회 자체를 놓치는 일..

연구소 운영 중 세무조사 피하는 회계관리 전략 (중소 반도체 기업 기준)

부설연구소를 인정받은 중소기업은 다양한 세제 혜택을 누릴 수 있다. 특히 연구·인력개발비 세액공제, 설비투자 세액공제, 청년채용 공제 등은 연구소의 운영 비용 부담을 크게 줄여주는 핵심 수단이다. 그러나 혜택이 큰 만큼, 국세청과 세무서의 사후 관리와 세무조사 대상으로서의 위험도 함께 따른다. 실제로 연구소 운영 기업 중 일부는 세액공제를 받았다가, 사후에 요건 미충족으로 환수 조치를 당하거나, 회계자료의 불일치로 인해 세무조사에 선정되는 사례가 매년 발생하고 있다. 반도체 산업처럼 고가 장비와 인건비가 집중되는 산업에서는 R&D 회계의 정합성 확보가 기업의 생존과도 직결된다. 이 글에서는 부설연구소를 운영하면서 세무조사를 예방하기 위해 반드시 점검해야 할 회계관리 전략 4가지를 소개하고, 실제 세무리스..